▣ 예방법
아직은 확립된 췌장암
예방 수칙이 없으므로
일상생활에서 위험요인들을
피하는 것이 최선이다.
• 담배는 췌장암 발생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담배를 피우지 말고, 남이 피우는 담배 연기도 피하는 것이 좋다. 흡연자가 췌장암에 걸릴 확률은 비흡연자의 1.7배이상이 된다는 점을 기억하자.
• 건강한 식생활과 적절한 운동으로 알맞은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암뿐 아니라 모든 질환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육류 중심의 고지방, 고칼로리 식이를 피하고 과일과 채소를 많이 먹는 쪽으로 식생활을 개선해야한다. 단백질도 식물성의 것을 많이 섭취하라.
• 당뇨가 있으면 췌장암 발생 위험이 높아지니 당뇨 환자는 꾸준히 치료를 받고 식이요법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 만성 췌장염도 췌장암 발생 위험도를 높이므로 적절한 치료를 받도록 하자.
• 직업상 췌장암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물질들에 노출되는 사람들, 즉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DDT)와
베타나프틸아민(β-naphthylamine), 벤지딘(benzidine) 등 석탄이나 타르 관련 작업자,
금속 제조나 알루미늄 제분 종사자, 기계를 수리하거나 자르거나 깎는 작업을 하면서 관련 유체(流體)에 많이 노출되는 사람들은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 수칙을 엄수하여 이러한 물질에의 노출을 가능한 한 줄여야 한다.
• 췌장암의 일부는 유전적 요인에 의한 것이다. 직계 가족 가운데 50세 이전에 췌장암 걸린 사람이 한 명 이상 있거나, 발병 연령과 상관없이 두 명 이상의 췌장암 환자가 있다면 가족성 췌장암을 의심하고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위험요인들
환경적 요인과 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몇 가지 위험요인이 밝혀졌거나 추정되고 있는 정도이다.
· 흡연
췌장암의 발생과 관련이 깊은 발암물질은 담배이다. 흡연을 할 경우에는 췌장암의 상대 위험도가 2~5배로 증가하기 때문이다. 담배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이다.
다른 장기에 흡연과 관련하여 악성 종양 (두경부암, 폐암, 방광암 등)이 생겼을 경우에 췌장암의 발생이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다.
췌장암의 3분의 1가량이 흡연으로 인한 것이며,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췌장암 발생 위험도가 1.7배라고 한다. 담배를 끊었을 경우, 10년 이상이 지나야 췌장암에 걸릴 위험이 담배를 피우지 않는 사람만큼 낮아진다.
· 비만
비만인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고 보고되었으나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아서 단정하기는 어렵다.
· 당뇨
당뇨는 췌장암의 원인이 될 수도 있지만, 반대로 췌장암과 연관된 2차적인 내분비 기능 장애가 당뇨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앞의 견해를 뒷받침하는 것으로는 5년 이상 당뇨를 앓고 있는 환자들은 췌장암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등의 연구 보고가 있다.
인과관계를 이와 반대로 보는 견해의 근거는, 췌장암을 진단 받기 2년 전쯤에 흔히 당뇨가 발생하고, 그런 환자가 수술을 통해 암을 제거하면 3개월 이내에 당뇨가 호전되기도 한다는 점이다.
어느 견해도 무시할 수 없는 만큼, 당뇨를 장기간 앓고 있는 사람과 가족력 없이 갑자기 당뇨진단을 받은 사람은 일단 췌장암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한다. 인슐린 비의존성 당뇨(제2형 당뇨)이 있는 경우, 췌장암 발생 위험은 1.8배로 높아진다.
우리나라 췌장암 환자의 당뇨 유병률은
28~30%로 일반인(7~9%)의 3배 이상이다
(유병률이란 어떤 시점에 일정한 지역 혹은
집단의 인구 중 특정 질환의 환자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 만성 췌장염
만성 췌장염은 정상적이던 췌장 세포들이 염증을 앓는 가운데 섬유조직으로 변해가면서 췌장 전체가 매우 딱딱해져 기능을 잃게 되는 병으로, 처음부터 만성형으로 발병하기도 하고 반복적인 급성 염증이 만성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서구의 경우 10만 명당 5~10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일본은 더 높은 빈도를 보인다. 만성 췌장염의 가장 중요한 원인은 음주다. 만성 췌장염이 있으면 췌장암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이것을 췌장암의 원인 질환으로 본다.
만성 췌장염과 췌장암을 구별하기가 매우 어려운 경우도 있는데, 췌장염은 생명에 지장이 없으나 암은 치명적인 병이므로 철저한 감별 진단이 필요하다. 또한, 매우 드물지만 유전성 췌장염도 췌장암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 가족성 췌장암
직계 가족 가운데 50세 이전에 췌장암에 걸린 사람이 하나 이상 있거나, 발병한 나이와 상관없이 직계 가족 가운데 췌장암 환자가 둘 이상 있다면 가족성 췌장암이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의사와 상의하여 정기적으로 검진을 받는 것이 필요하다. 가족성 췌장암에서 특별한 유전적 이상이 확인된 바는 아직 없지만, 유전적 소인과 유전자 이상도 췌장암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의심된다.
다른 악성 종양 없이 한 가계에서 3대에 걸쳐 췌장암이 발생한 사례가 있다. 또, 유전적 소인이 췌장암 원인의 약 10% 정도를 차지한다고 알려졌다.
유전적 소인에 대해 밝혀진 것은 많지 않으나, K-Ras(케이라스)라는 유전자의 변형이 췌장암의 90% 이상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모든 암종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이상 가운데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이다.
· 나이
나이는 췌장암뿐 아니라 다른 암들의 발생에도 중요한 인자로 알려져 있다. 췌장암 발생률은 높은 연령대에서 크게 증가한다.
일반적으로 췌장암 발생의 평균 나이는 65세로, 30세 이전에 췌장암이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며 50세 이전에도 많지 않다. 50세 이전에 췌장암이 발생했거나, 가족 중에 그 같은 환자가 있다면 가족성 췌장암일 가능성이 크므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
· 음주
이전의 연구 보고들에서는 과음이 췌장암 발생 위험을 키운다는 주장이 많았으나, 많은 음주자가 흡연을 즐긴다는 점을 고려하면 술보다는 흡연의 영향이 컸을 수 있다. 최근에는 음주와 췌장암 발생 사이엔 유의미한 관계가 없다는 보고가 많다.
그 관계는 또 인종과 성별에 따라 다르고, 술의 종류나 음주량, 술을 마신 기간에 따라서도 다르다. 그러나 술을 많이 마시는 것은 췌장염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췌장암 발생과 적어도 간접적으로는 관련된다.
· 식이
최근 들어 식이 또는 식이 습관이 췌장암 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가 많이 나오고 있다. 여러 역학 연구에서 육류나 지방, 탄수화물의 과도한 섭취,
과다한 열량과 높은 체질량지수 (body mass index, BMI)가 췌장암의 위험도를 높이는 반면 신선한 과일과 채소류, 비타민 등은 위험도를 낮추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하고 있는데, 연구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아서 확언하기는 어렵다.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란 키와 몸무게를 이용하여 비만의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몸무게(kg)를 키(m)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다.
· 화학물질
각종 용매제, 휘발유와 그 관련 물질, 살충제(DDT)와 베타나프틸아민(β-naphthylamine), 벤지딘(benzidine) 등의 화학물질도 췌장암의 위험인자로 알려졌다.
이 모두가 의심의 여지 없이 입증되지는 않았으나, 여러 연구에서 화학물질이 췌장암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많이 노출된 사람은 췌장암 발생률이 매우 높다. 탄소 연료인 코크스를 취급하는 사람들에게도
대장암과 췌장암이 많고, 석탄이나 타르 관련 작업자, 금속 제조나 알루미늄 제분 종사자,
기계를 수리하거나 자르거나 깎는 작업을 하면서
관련 유체(流體)에 많이 노출되는 사람들 역시
췌장암 발생 위험성이 높다는 보고들이 있다.
아울러 방사선 노출 또한 위험인자로 생각된다.
▣ 조기검진
· 혈액검사와 CA19-9
췌장암이 생겼을 경우, 암세포에서 생성하 CA(carbohydrate antigen)19-9라는 물질(당지질)이 혈액검사에서 검출될 수 있다. 종양 세포에서 특이하게 만들어져서 암의 진단이나 경과 관찰에 지표가 되는 이런 물질을 종양표지자라고 한다.
하지만 CA19-9가 계속 검출된다면 암은 이미 초기 단계가 아닌 것이므로, 이 검사법은 암의 증상이 없고 췌장암 진단을 받지 않은 사람들의 조기 검진용으로는 권장되지 않는다. 다른 종양표지자인 암태아성 항원(carcinoembryonic antigen, CEA)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 유전자검사
췌장암의 약 10%는 유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미국암협회(American Cancer Society, ACS)에서는 유전자검사에 대해 전문 의료진과 상담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 아픈 위치 확인해서 치료방법 확인합시다~~~ ※
※ 추천 글
신우신염 증상 및 치료 알고갑시다.
◈ 신우신염이란 신장이나 신우 등 상부 요로계가 감염된 것을 의미한다. 방광이나 요도의 감염은 하부 요로 감염이라고 한다. ↓↓↓ 건강 확인하세요~~ ↓↓↓ ◈ 발 병 원 인 세균(박테리아)
class-organic.net
2023.01.26 - [우리의 몸] - 콩팥 건강 관리
콩팥 안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및 좋은 식품
▣ 콩팥 건강 챙기기 ↓↓↓ 건강한 신장을 위한 9가지 방법 ↓↓↓ https://m.regrow.co.kr/product/detail.html?product_no=11&cate_no=47&display_group=1 REGROW 성장전문브랜드 리그로우 regrow.co.kr 1. 필수 아미노산이
class-organic.net
양악수술
◈ 양악 수술 정의 요즘 웃을 때 예쁘고 아름다운 모습을 지니기 위해 양악수술을 고려하는 사람이 많다. 겉으로 보이는 외모에만 신경을 쓰면서 양악 수술을 미용 수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class-organic.net
2023.01.25 - [우리의 몸] - 척추 협착증 치료 어떻게
척추 협착증 운동법 및 치료법
초기치료 통증이 심해 허리를 펴기 힘들고 걷기 힘든 정도라면 치료가 필요한 수준이다. 대게 허리가 아프면 허리디스크라고 생각하기 쉽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를 통해 적절한 협착증치료법을
class-organic.net
'우리의 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위별로 살찌는 음식 다르다는 사실 알면 다이어트 문제 없다~ (0) | 2023.01.30 |
---|---|
신우신염 증상 및 치료 알고갑시다. (67) | 2023.01.26 |
췌장암 검사방법 및 예방정리 (0) | 2023.01.26 |
콩팥 안좋으면 나타나는 증상 및 좋은 식품 (0) | 2023.01.26 |
치아 교정술과 양악수술 비용!! (0) | 2023.01.26 |
댓글30